안녕하세요 오늘은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및 청년희망적금 가입자의 유무에 대해서 가볍게 설명드리려 합니다. 작년 22년 문재인정부에서는 청년 희망적금 제도를 추진하여 많은 적금 및 비과세 혜택을 진행하고 있는 중인데요.

이번 윤석열 정부에서는 청년 도약 계좌라는 이름으로 조금 더 혜택을 추가했다고 합니다. 그렇기에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 어느 부분이 장단점이 있는지
또는 이러한 부분에 대해 단점은 또 어떤 부분들이 있는지 가볍게 작성해 보았습니다. 먼저 청년도약계좌 신청대상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란?
청년 도약 계좌의 취지는 청년들의 중장년 자산 형성을 위해서 마련된 제도인데요. 윤석열 정부가 공약으로 10년 만기 최대 1억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게 지원하겠다고 해서 화제가 되었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정부 출범 이후에는 10년이 아니라 5년에 5천만 원으로 축소가 되었는데요.
정부 재정 등을 고려했다고 하네요. 금융위원회에서 2023년 예산 확정을 보도자료로 배포를 했는데요. 올해 6월 출시 예정인 윤석열 정부의 청년 도약 계좌는 청년들의 중장기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제도이죠. 그래서 여기에 3678억 원을 서민금융진흥원에 출연했다고 합니다. 모두 합쳐서 만 기지 최대 5천만 원까지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및 신청대상
1. 나이:만 19세~34세 청년 (1988년생~2004년생)
2. 가입기간 : 2023년 6월 ~ 2025년 12월 31일
3. 소득조건:개인소득 6,000만 원 이하,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4. 정부 지원:소득 구간에 따라 4~6% 지원
5. 납입한도:월 납입 최대 70만 원(70만 원 내에 자유롭게 납입가능)
6. 의무 가입기간 : 5년 (단 청년도약계좌 대학생 남성분들 중 군인, 병역 이행기간으로 최대 6년까지) 개인 소득 6천만 원 이하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를 충족하는 청년입니다.

중위소득이란?
중위소득 180%은 전체 가구를 소득 순서대로 세웠을 때 중간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말하는데요. 즉 우리나라 평균 중산층을 토대로 정부정책을 발행한다는 뜻입니다. 매년 정부에서는 이 중위소득을 토대로 각종 경제지표를 반영한 노인 가구 소득의 중간값을 발표하곤 합니다. 이를 기준 중위소득이라고 하는데요.
매년 달라지는 금액이기 때문에 해마다 체크해 볼 수 있습니다. 2022년 2023년 준위소득표에서 180%가 되는 부분을 살펴보니까 1인 가구일 경우에는 약 370만 원대 2인 가구일 경우는 620만 원대인데요.

정확한 숫자와 자세한 표를 보고 싶다 하시는 분들은 정부에서 상세정보가 있기에 그거 보실 수 있기에 하단에 넣어두겠습니다.
본인이 납입한 금액에 비례해서 일정 비율에 정부의 기여금을 지원받고 계좌에서 발생한 이자 소득 등에 대해서는 부가세 혜택또한 지원을 하기 때문에 자세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주의사항



주의사항
- 무직자는 가입 불가합니다.(소득이 있는 사람만 가입가능)
- 비과세 납입한도는 연 840만 원입니다. (월 70만 원)
- 가입자는 본인의 판단 하에 투자운용 형태 (주식형, 채권형, 예금형)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의무 가입기간 내 계좌를 해지하거나 인출할 경우 비과세 혜택을 본 부분에 대해서 추징합니다. 다만 가입자의 사망이나 해외 이주, 질병, 생애최초 주택구입, 천재지변, 퇴직 등 명확한 사유가 있을 때는 예외로 합니다.
- 22년 초 전 정부에서 출시한 상품인 '청년희망적금'과 동시 가입 불가 (이전 신청이 가능한지는 상황여부를 잠시 기다려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청년도약계좌 단점은?
반대로 22년도 청년 희망적금에 가입하신 분들은 추가 가입이 안시기 때문에 좀 더 기다려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청년 도약 계좌 신청 시기에 청년 희망적금 가입자를 받을지 안 받을지는 그때 상황을 봐야 하기 때문에 조금 더 기다려주시는 것이 좋다는 이견들이 많습니다.
또한 적금기간이 5년이라는 것을 놓고 본다면 조금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22년 청년 희망적금 제도 당시 굉장히 많은 인기를 끌었지만 첫해 중도해지자가 무려 30만 명이나 넘겼다는 소식에 이번 5년까지 잘 진행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일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단순적금보다 더욱더 좋은 혜택들이 들어있기 때문에 이번 기회에 조금씩이라도 비과세 혜택을 받으시면서 적금을 진행해주시는 것이 굉장히 도움이 되실 거라 생각합니다.
마침 글
오늘은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에 대해서 설명드려보았습니다. 여러분들도 이번 6월단 전까지 한번 가볍게 알아보신 후에 이번에 조금이라도 적금제도를 이용하여 이자감면 서비스 혜택도 누리고 나중에 꼭 목돈이 필요한 순간에 알맞게 사용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참고하면 좋을 글
국민취업지원제도 신청방법 및 과정(주의사항은?)
오늘은 국민취업지원제도 신청방법 및 거쳐가는 과정들과 특히나 주의사항에 대해서 설명드리려 합니다. 요즘 2021년도에 시행되었던 국민취업지원제도가 확대 개편이 되었다 합니다. 취업적인
zingmarry.tistory.com
비과세 종합저축 대상 및 가입 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비과세 종합저축 대상 및 가입 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리려 합니다. 슬슬 이번 코로나의 여파로 인한 국가 정부 혜택들이 속속히 사라지고 있습니다. 이제 연말이 끝나가면서
zingmarry.tistory.com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간편하게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 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리려 합니다. 슬슬 연말정산 환급 시기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예상했던 것과 달리 적게 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zingmarry.tistory.com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방법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시면 나중에 충분히 안전한 자산관리를 이행하실수 있습니다.
댓글